이 블로그에는 헌법의 의의라는 글이 있다. 여기서는 구속된 러시아 스파이를 변호하는 한 중견 미국인 변호사의 실화를 극화한 영화 Bridge of Spies를 소개한다. 이 영화의 한 장면에서,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외국 이민자의 후손이 어떻게 으로 규정될 수 있는지, 그 근거를 주인공 변호사가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 . . what makes us both Americans? Just one thing. One, one, one.The rule book. We call it the Constitution... and we agree to the rules,and that's what makes us Americans. It's all that makes us Americansso don't t..
-
언어의 힘
이 블로그에는 헌법의 의의라는 글이 있다. 여기서는 구속된 러시아 스파이를 변호하는 한 중견 미국인 변호사의 실화를 극화한 영화 Bridge of Spies를 소개한다. 이 영화의 한 장면에서,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외국 이민자의 후손이 어떻게 으로 규정될 수 있는지, 그 근거를 주인공 변호사가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 . . what makes us both Americans? Just one thing. One, one, one.The rule book. We call it the Constitution... and we agree to the rules,and that's what makes us Americans. It's all that makes us Americansso don't t..
-
제임스 얼 존스 James Earl Jones (1931-2024)
제임스 얼 존스 James Earl Jones 배우가 돌아가셨다. 향년 93세. 이분은 목소리로 유명하시다. 대표적인 예가 Star Wars의 Darth Vader, 그리고 The Lion King의 아빠 사자의 목소리... “Remember...” 이러한 역할 때문에 그는 목소리만으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할 입지를 다질 수 있었지만, 사실 그는 엄청난 경력을 가진 대배우이다. IMDB에 가보니 대표작으로 Star Wars 외에 Field of Dreams, Jack Ryan 시리즈였던 The Hunt for Red October 등이 나온다. 각 장르에서 뛰어난 이 작품들에서 존스 할아버지는 인종의 장벽을 넘는 (혹은 인종이 주요 요소가 아닌) 캐릭터를 멋지게 연기하셨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이 작품들..
-
예스터데이 Yesterday
신촌에서 학생이던 시절, 맥주를 마실 때면 정해진 곳이 있었음. 그중 한 곳을 학과 선생님 두 분께 소개해 드렸는데, 두 분 모두 돌과 목조로 이루어진 고전적인 실내 장식 분위기를 좋아하셔서 그곳에서 같이 술 마신 적이 적지 않았음(이곳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 기억나는 일화 하나. 학부 졸업생 때 한 번은 밤에 그곳에서 같은 과 친구와 술 마시다가 (나답지 않게) 간이 커져 위에 언급한 선생님 중 한 분의 연구실로 전화해 술자리로 초대한 적이 있음. 혼나는 걸 각오했지만 그 선생님께서 흔쾌히 오셔서 같이 술 마시고 술값도 내주신...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추억. 하지만 직장을 가진 후 나의 맥줏집은 오로지 한 곳, 예스터데이 Yesterday (클릭). 이곳도 90년대부터 드문드문 방문했지..
-
다시 다른 나라 대선 이야기
이 블로그에는 제목이 인 글이 세 개 정도 있음. https://joonhohwang.tistory.com/624 다른 나라 표현의 자유 이야기Trump가 촉발시켜 의회에 난립한 폭도들이 저지른 행위의 의미와 심각성은 이미 언론에서 많이 다루어짐. Trump 임기 내내 치열하게 대립했던 공화당과 민주당이 거의 한 목소리로 이들을 질타. 심joonhohwang.tistory.com https://joonhohwang.tistory.com/618 다른 나라 대선다른 나라 대선 맞는데, 그 영향이 태평양 건너까지 오는 대선이었음. 2000년 Gore-Bush 선거 이후로 이렇게 집중적으로 미국 대선을 본 적이 없었던 듯. 매우 타이트했고 긴장감 흘렀던 선거였음.joonhohwang.tistory.com htt..
리스트 : 콘텐츠가 있으면 최근 5건을 불러옵니다.
-
언어의 힘READ 2025.01.15 20:46
이 블로그에는 헌법의 의의라는 글이 있다. 여기서는 구속된 러시아 스파이를 변호하는 한 중견 미국인 변호사의 실화를 극화한 영화 Bridge of Spies를 소개한다. 이 영화의 한 장면에서,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외국 이민자의 후손이 어떻게 으로 규정될 수 있는지, 그 근거를 주인공 변호사가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 . . what makes us both Americans? Just one thing. One, one, one.The rule book. We call it the Constitution... and we agree to the rules,and that's what makes us Americans. It's all that makes us Americansso don't t..
-
제임스 얼 존스 James Earl Jones (1931-2024)SEE 2024.09.13 11:44
제임스 얼 존스 James Earl Jones 배우가 돌아가셨다. 향년 93세. 이분은 목소리로 유명하시다. 대표적인 예가 Star Wars의 Darth Vader, 그리고 The Lion King의 아빠 사자의 목소리... “Remember...” 이러한 역할 때문에 그는 목소리만으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할 입지를 다질 수 있었지만, 사실 그는 엄청난 경력을 가진 대배우이다. IMDB에 가보니 대표작으로 Star Wars 외에 Field of Dreams, Jack Ryan 시리즈였던 The Hunt for Red October 등이 나온다. 각 장르에서 뛰어난 이 작품들에서 존스 할아버지는 인종의 장벽을 넘는 (혹은 인종이 주요 요소가 아닌) 캐릭터를 멋지게 연기하셨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이 작품들..
-
예스터데이 YesterdayGO 2024.08.09 22:31
신촌에서 학생이던 시절, 맥주를 마실 때면 정해진 곳이 있었음. 그중 한 곳을 학과 선생님 두 분께 소개해 드렸는데, 두 분 모두 돌과 목조로 이루어진 고전적인 실내 장식 분위기를 좋아하셔서 그곳에서 같이 술 마신 적이 적지 않았음(이곳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 기억나는 일화 하나. 학부 졸업생 때 한 번은 밤에 그곳에서 같은 과 친구와 술 마시다가 (나답지 않게) 간이 커져 위에 언급한 선생님 중 한 분의 연구실로 전화해 술자리로 초대한 적이 있음. 혼나는 걸 각오했지만 그 선생님께서 흔쾌히 오셔서 같이 술 마시고 술값도 내주신...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추억. 하지만 직장을 가진 후 나의 맥줏집은 오로지 한 곳, 예스터데이 Yesterday (클릭). 이곳도 90년대부터 드문드문 방문했지..
-
다시 다른 나라 대선 이야기READ 2024.07.22 09:27
이 블로그에는 제목이 인 글이 세 개 정도 있음. https://joonhohwang.tistory.com/624 다른 나라 표현의 자유 이야기Trump가 촉발시켜 의회에 난립한 폭도들이 저지른 행위의 의미와 심각성은 이미 언론에서 많이 다루어짐. Trump 임기 내내 치열하게 대립했던 공화당과 민주당이 거의 한 목소리로 이들을 질타. 심joonhohwang.tistory.com https://joonhohwang.tistory.com/618 다른 나라 대선다른 나라 대선 맞는데, 그 영향이 태평양 건너까지 오는 대선이었음. 2000년 Gore-Bush 선거 이후로 이렇게 집중적으로 미국 대선을 본 적이 없었던 듯. 매우 타이트했고 긴장감 흘렀던 선거였음.joonhohwang.tistory.com htt..
-
작은 집READ 2024.07.16 11:00
우연히 알게 된 르 코르비쥐에의 작은집>을 읽음.일반적으로 세계적 건축가가 "보통 집"을 지었다고 해도, 일반인에게는 그렇게 안 보이겠지만, -_-60제곱미터(약 18평)의 이 집은 코르비쥐에가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었을 때 부득이하게 작은 예산으로 부모님을 위해 지은 공간이라고 함. 일반 주택임에도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그의 생각이 녹아들어 있음.즉 작은 집이지만 동선이 자연스러워야 하고, 필요한 공간이 있어야 하고... 등등(책 표지 하단에 나와 있는 그림이 집의 설계도. 점선이 집 안에서 가능한 동선)게다가 호수가 내려다 보이는 이 집은 자연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짐. 코르비쥐에가 글, 사진, 그림으로 묘사한 작은 집을 보면그 안에서 제대로 숨 쉬고, 삶을 충만하게 할 수 있는 듯.물론 이 집이 지어진..